능이버섯ㅡ?
1ㅡ 능이버섯?
2ㅡ 송이버섯?
3ㅡ 표고버섯?
이 순서는 맛과 풍미순서 입니다.
보통 그렇게 부릅니다.
⛔ 능이버섯 자생지
능이버섯 채취는 채취 시기를 잘 맞추지 못하면 능이 자생지라 할 지라도 구경하기 힘듬??
✅능이버섯 자생지
1ㅡ 활엽수림 부근.
2ㅡ 낙엽이 너무 많으면 버섯포자가
일어나기 힘드므로 적당한 곳.
3ㅡ 토질은 배수가 잘되는 적당한
크기의 돌과마사토가 섞여
있는곳이 좋다.
4ㅡ 가뭄이 심한 시기엔 계곡주변의
굴참나무 군락지
(어둡고습한곳)
5ㅡ비가 너무와서 습이 지나치게
많다면 양달쪽 능선 주변.
6ㅡ기후가 최상이라면 능선주변에
많이 나고 조릿대(산죽나무)
속에서 대량으로 발견 된다.
7ㅡ 최상의 기후조건 이면 어디든
날수있지만 북동,북서쪽 7.8부
능선을 살펴 보는 것이 좋다
?능이버섯이 많이 자라는 자리?
1ㅡ커다란 참나무 숲이 형성되어
있으며, 생강나무와 철쭉나무,
산목련나무 등이 많은곳
2ㅡ낙엽은 너무 많은 곳보다.
없거나적당한곳
3ㅡ 토질은 마사토질에 물빠짐이
좋아야 합니다.
적당한 크기의 돌과 마사토가
섞여 있는곳.
4ㅡ산속 어디든 자생을 하며,
비탈진곳, 능선부근, 바위와 흙이
적당히 섞여 있는곳
5ㅡ선선하며 햇볕이 듬성듬성
들어오는 곳
6ㅡ동에서 서쪽으로 쭉 뻗은
능선에서 산비탈이 정북쪽방향
7부 능선 600고지 이상이
가장 많으며,
북동이나북서쪽 방향에도 많습니다?
능이버섯은 보통 9월 초(대략10일) 부터 10월 10일경까지 채취하며,
그 향이 너무 뛰어나 능이냄새를 가지고도 서식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적합한 잡목
활엽수림, 특히 참나무가 많이 자라는 곳에 능이가 있다?
참나무 밑이라고 하더라도 낮은 야산보다 600고지 이상
7부 능선에 많고,
경사진곳 오전에 햇볕이 나는 북. 동향을 살피면 확률은 높아진다?
마사토 가 있는곳 바위가 있는옆 동북 방향 산삼의 서식지와 비슷 하다고 보면 된다?
1개만 발견하게 되면 길게는 20m 근처까지 뻣어 생식을 하므로 다량의 채취가 가능합니다??
⛔적합한 채취시기
9월 20일경이며,
크기는 모두 자랐을때는 보통 버섯들보다 10배정도의 작은 쟁반크기의 능이도 있답니다??
요즘은 엄청난 능이 버섯 군락지를 보기 힘들다고 합니다??
아마도 무분별한 임도 건설과 밤나무 재배 목적의 벌목과 참나무 간벌 등의 생태계 파괴의 결과인 듯.
능이버섯은 처음 올라오는 작은 버섯은 따지 말고 더 크게 자라난 다음에 따는 것이 뿌리 생장을 활성화시켜서 자꾸 능이버섯 자생지가 늘어난다고 합니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주와 바꾸지 않는 술 (0) | 2021.09.25 |
---|---|
실새삼 와인병 만듬 (0) | 2021.09.21 |
약초공부 ㅡ제피 (0) | 2021.09.19 |
선태산행 (0) | 2021.09.14 |
약초공부 ㅡ고사리삼 (0) | 2021.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