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약초공부 ㅡ곡정초
말티즈-전우희
2021. 3. 25. 12:30
곡정초
곡정초(穀精草)는 얕은 연못이나 논밭에서 자라는 곡정초과의한해살이풀로서 원줄기가 없으며 수염뿌리가 있다. 잎은 모여서 나며 끝이 송곳처럼 뾰족하다.
꽃자루는 잎보다 길고 높이가 5∼15㎝로서 세로로 5개의 얕은 홈이 있고 8∼9월에 두상화가 1개씩 끝에 달리고 10개 정도의 꽃이 나며 흰색이다.수꽃의 외화피는 주걱 모양이고 합쳐져서 끝이 3개로 얕게 갈라지며 내화피는 통 모양으로 합쳐지고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6개이며 꽃밥은 백색이다. 암꽃의 외화피는 선형으로 3개가 서로 떨어지며 내화피가 없다.열매는 튀어나가며 씨에는 눈젖이 많아 가루 모양이다.
성질은 차고 맛은 맵거나 달다.
전초에는 해열, 항균, 명목, 진통작용이 있다.
곡정초의 꽃자루를 포함한 꽃을 약용한다.
이것을 ‘곡정주’라고 한다.
곡정주에는 두통, 현기증을 치료하는 작용이 있다. 곡정초에 함유된 성분은 녹농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뛰어난 풍열발산 작용 곡정초는 안구의 급성 염증치료에 크게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목적, 국화와 배합해서 사용하며
소염과 소종의 효과를 낸다.
건강한 눈을 만든다. 명목작용을 통해 안구의 분비액이
감소하여 결막이나 각막이 건조하여 눈이 몹시
피로하여 오랫동안 볼 수 없고 시야가 흐린 경우에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인후의 통증에 효과적 각기의 발열로 인해 인후에 가벼운 통증이 있을 때에 사용한다. 9~12g을 달여 복용한다
허약한 체질로 인해 일어나는 두통, 현기증에는 여정자, 천궁, 하수오를 배합해 쓴다. 어린아이가 수두나 마진으로 인해 열독이 왕성하면 시력이 떨어지고 안구가 혼탁해지는 등의 후유증이 나타날때곡정주, 구기자, 돼지고기와 함께 약한 불로 끓여 상시 복용하면 효과가 난다.
비출혈에는 곡정주를 충분히 쪄서 진흙처럼 만든 것에 설탕을 가미해 미지근하게 해서 복용한다.
시신경염이나 시신경 망막염에는 증상의 초·중기에 다량의 곡정주와 결명, 적작약, 석곡을 배합해 사용하면 소염효과가 강화된다. 시력 감퇴에는 곡정주를 소량씩 계속 사용하면 좋고 석곡, 원지, 구기자 등을 배합해 환제로 상시
복용하면 효과적이다.
눈이 건조하여 피로하면 곡정초에 구기자, 석곡을 배합해여 마시면 양음, 생진시키며 눈을 밝게 하는 효과가 있다.